경제뉴스

트럼프, “미국 황금기 시작” 후폭풍 만만치 않아

글쓴이 운영자

“미국의 황금기, 바로 지금 시작”

미국 47대 대통령으로 백악관으로 다시 돌아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일성은 총성없는 글로벌 경제전쟁에서 자국 최우선 주의의 선언이었다. 그의 재집권은 미국 경제와 부동산 시장에도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그는 현재 모든 수입품에 20% 보편 관세를 내세우며,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60% 이상의 고율 관세를 실행 중이다. 또한 바이든 행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을 취하하고 화석 연료 산업을 부흥시키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러한 정책이 미국 경제와 부동산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보면, 단기적 활력과 장기적 불확실성이 공존하는 복합적인 그림이 그려진다.

관세 정책: 보호무역의 양면성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보호무역의 전형이다.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해 국내 제조업을 보호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이는 미국 경제에 양날의 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먼저, 관세는 수입품 가격을 끌어올려 소비자물가를 자극한다. 올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이미 3.0%로 상승한 상황에서 관세가 본격화되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더 커질 수 있다. 이는 가계의 구매력을 약화시키고, 소비 중심의 미국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다.

기업도 자유롭지 않다. 수입 원자재와 중간재 비용이 증가하면 제조업과 소매업의 생산 비용이 상승한다.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과정에서 단기적인 혼란도 불가피하다. 더구나 중국, EU, 캐나다 등 주요 교역국이 보복 관세로 대응하면 미국의 농업과 기술 수출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무역수지 악화와 경제 성장 둔화가 뒤따를 수 있다. 물론, 높은 관세로 국내 생산이 장려되면 제조업 일자리가 늘어날 여지도 있다. 하지만 자동화와 비용 상승으로 이 효과는 제한적이 될 수 있다.

부동산 시장에서도 관세의 파장은 만만치 않다. 철강, 알루미늄 등 건설 자재 가격이 오르면 주택과 상업용 건물의 건설 비용이 증가한다. 이는 신규 주택 공급을 줄이고, 주택 가격 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인플레이션으로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면 모기지 금리가 오르며 주택 수요가 위축될 것이다. 지역별로는 제조업 중심의 러스트 벨트에서 일자리 증가로 부동산 수요가 소폭 오를 수 있지만, 수입 의존도가 높은 연안 대도시는 비용 증가로 시장이 침체될 가능성이 있다.

그린뉴딜의 백지화를 선언한 트럼프 미국 47대 대통령

그린뉴딜 폐기, 화석 연료의 부활 ‘후폭풍’ 거세

트럼프는 바이든의 그린뉴딜과 인플레이션감축법을 폐기하고 화석 연료 산업을 되살리겠다고 공언했다. 이는 석유, 가스, 석탄 기업에 규제 완화와 지원을 약속하는 정책이다. 단기적으로는 에너지 가격 하락과 제조업 활력이 기대된다. 에너지 비용이 낮아지면 기업 운영비가 줄어 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 관점에서는 우려가 크다.

재생에너지 투자가 축소되면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산업의 성장이 둔화된다. 관련 일자리와 기술 혁신도 타격을 받을 것이다. 유럽과 중국이 기후 기술로 앞서가는 상황에서 미국이 화석 연료에 치중하면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 무엇보다 환경 규제 완화는 기후 변화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키운다. 자연재해 빈발과 그로 인한 비용 증가는 미국 경제에 새로운 부담이 될 것이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에너지 비용 절감이 단기적으로 긍정적이다. 상업용 건물과 주거용 부동산의 운영비가 줄면 임대료가 안정되고 자산 가치가 오를 수 있다. 그러나 그린뉴딜 후퇴는 친환경 부동산 개발을 저해한다. 재생에너지 설비나 그린빌딩 인증에 대한 인센티브가 사라지면, 특히 캘리포니아 같은 환경 중심 지역에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해안가나 자연재해 취약 지역은 기후 정책 후퇴로 보험료가 오르고 자산 가치가 하락할 리스크도 커진다.

단기 활력과 장기 불확실성 ‘소탐대실 우려도’

트럼프의 관세와 그린뉴딜 취하 정책은 단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혼재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고율 관세는 제조업과 화석 연료 산업을 부양할 수 있지만, 물가 상승과 무역 보복으로 소비자와 기업에 부담을 준다. 그린뉴딜 폐기는 에너지 비용을 낮추며 단기 활력을 줄 수 있으나, 재생에너지와 기후 기술에서의 뒤처져 장기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부동산 시장은 건설 비용 증가와 모기지 부담으로 주택 공급·수요가 모두 압박받을 전망이다. 친환경 부동산 개발은 위축되지만, 에너지 비용 절감은 일부 지역에서 시장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후 리스크가 커지며 해안가 부동산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이다.

결론적으로, 트럼프의 정책은 부동산 뿐만 아니라 미국 시장에 단기적 이익과 장기적 불확실성을 동시에 품은 이중성을 지닌다. 고율 관세와 화석 연료 중심 접근이 초기 경제 활력을 줄 가능성은 있지만, 글로벌 트렌드와 기후 위기에 역행하는 점에서 미국의 지속 가능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크다. 정책의 강도, 의회 협력, 국제 사회의 반응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것이기에, 그 귀추가 주목된다.

공유하기 간편한 사이트 주소입니다: https://korcity.com/t5d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