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관세전쟁이 가속화 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공장에서 촬영된 고가 소비재 상품의 원가 폭로 영상이 온라인에서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기 위해 중국이 의도한 여론전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동영상 공유플랫폼인 틱톡(TikTok)과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는 에르메스 명품 가방, 나이키 운동화, 운동복 브랜드 룰루레몬 레깅스 등 유명 브랜드 제품들의 제조 원가를 공개하는 영상들이 확산 하고 있습니다.
이들 영상은 별다른 진위 확인 없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으며, 일부 영상은 수백만 건 이상 조회수를 기록하며 파급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 13일 엑스에서는 초고가 명품으로 꼽히는 에르메스 버킨백의 원가가 1천395달러인데, 실제 판매가는 3만 8천달러에 달한다는 내용의 영상이 공개됐습니다.
영상 속 중국 공장 관계자는 유창한 제작에 필요한 가죽과 각종 부자재 등의 원가를 각각 상세히 설명하면서, 버킨백 가격의 90%는 ‘에르메스 로고 값’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다른 틱톡 인플루언서는 “미국에서 100달러 이상에 판매되는 룰루레몬 요가 레깅스가 중국 공장에서 사실 5∼6달러에 만들어진다”면서 “자재와 장인 정신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고 폭로했습니다.
주로 중국 공장에서 촬영된 이 영상들은 세계 두 번째 경제 대국인 중국에서 소비재 대부분이 어떻게 생산되는지를 폭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보도했습니다.
한편, 중국 내부에서는 반미감정 고조와 더불어 ‘애국소비’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국 젊은이들이 애플의 아이폰보다 우수하다며 샤오미, 화웨이, 비보 등 중국산 휴대전화를 구입하겠다고 얘기하는 영상 등이 중국 온라인에서는 지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