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미 국무부, 주중 외교 인력에 “중국인과의 연애 금지” 지침… 외교계와 국제 사회에 파장

글쓴이 운영자

2025년 1월, 미국 국무부가 중국에 주재 중인 미국 외교관 및 정부 인력에게 중국 국적자와의 낭만적 또는 성적인 관계를 전면 금지하는 지침을 비공식적으로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번 지침은 베이징 주재 대사관을 비롯해 상하이, 광저우, 선양, 우한 등 주요 영사관과 홍콩 총영사관 근무자 전원에게 적용되며, 외교관뿐 아니라 그 가족과 계약직 직원까지 포함됩니다.

지침은 공식 성명 없이 구두 전달 및 내부 전자 시스템을 통해 조용히 시행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례적으로 특정 국가 국민과의 연애 자체를 금지하는 조치는 냉전 이후 처음 있는 일로, 외교계에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국무부는 이번 조치의 배경으로, 중국 정보 기관의 적극적인 정보 수집 활동 및 미인계 활용 전략에 대한 우려를 들었습니다. 미국 정보 당국은 그간 외교관 보안 교육에서 “연애 감정이 정보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으며, 실제 사례들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지침에 따르면 이미 중국 국적의 파트너가 있는 경우, 예외적으로 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별도 승인 절차가 마련되어 있으나, 승인이 거부될 경우 해당 직원은 관계를 종료하거나, 직무를 포기하고 중국을 떠나야 합니다.

다만, ‘로맨틱·성적 관계’의 구체적인 정의나 경계선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아, 일선 외교관들 사이에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친교나 식사, 일상적인 만남이 어느 선까지 허용되는지에 대한 기준이 불분명하기 때문입니다.

이 같은 강경 조치는 미 의회의 일부 대중(對中) 강경파들의 지속적인 요구와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1987년 소련 주재 미 대사관에서 유사한 사건이 발생한 이후, 미국은 과거에도 유사한 연애 금지 조치를 시행한 바 있으며, 이번 조치는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정을 두고, 단순한 안보 조치를 넘어 미중 양국 간의 심화된 신뢰 부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일부는 이러한 조치가 신(新)냉전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갈등이 깊어진 만큼 양국이 향후 외교적 해법과 타협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는 신중한 낙관론 역시 존재합니다.

국제 정세가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이번 조치가 양국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공유하기 간편한 사이트 주소입니다: https://korcity.com/3l81